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알뜰 실버타운, 월세 5만~10만 원

by 건강대표 2024. 5. 28.

알뜰 실버타운

실버타운은 노인분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다양한 편의시설과 복지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용도 만만치 않게 발생하는데요. 하지만 월세가 단 돈, 5만 원뿐인 실버타운이 있다면 믿기시나요? 일명, 알뜰 실버타운으로 불리는 고령자복지주택입니다.

목차

    1. 알뜰 실버타운

    영동부용고령자복지주택아파트 외부
    충북 영동군에 위치한 고령자복지주택

    알뜰 실버타운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노인들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의 노인주택복지 제도를 뜻합니다. 불리는 이름도 다양한데 고령자복지주택, 주거복지동주택, 공공실버주택 모두 동일한 의미입니다.

    알뜰 실버타운의 두드러진 특징은 임대주택과 복지시설을 접목했다는 점인데요. 노인분들에게 주거공간을 마련하고, 복지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실버타운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어요.

    비용

    알뜰 실버타운으로 불리는 만큼 월세나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일반 실버타운에 비해 저렴한데요. 비용을 비교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알뜰 실버타운 일반 실버타운
    월세 5만~10만 원 60만~90만 원
    보증금 200만~1,000만 원 1억 원 이상
    관리비 10만~15만 원 50만~200만 원

    즉, 알뜰 실버타운에 입주할 경우, 월 20만 원 내로 월세와 관리비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죠. 일반 실버타운의 한 달 비용은 대략 200만~300만 원 사이인데, 무려 10배 이상 저렴합니다.

    물론, 알뜰 실버타운과 일반 실버타운을 동일하다고 볼 수는 없어요. 일반 실버타운의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더 다양한 편의시설과 고급 서비스가 제공되기 때문이죠.

    하지만 알뜰 실버타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품질도 결코 뒤떨어지지 않습니다. 무료식당, 간호시설, 헬스케어실, 사우나실, 체력단련실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기 때문입니다.

    보증금 0원, 실버타운 알아보기

    2. 입주자격

    알뜰 실버타운에 입주하기 위해선 신청자격, 소득기준, 재산보유 기준 총 3가지를 충족해야 합니다.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노인들에겐 우선순위가 부여됩니다.

    2.1 신청자격

    만 65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알뜰 실버타운에 입주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입주자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해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2.2 우선순위

    순위 대상
    1순위 생계급여수급자, 의료급여수급자
    2순위 월평균 소득 70% 이하
    3순위 월평균 소득 50% 이하
    • *월평균 소득은 가족인원수에 따라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월평균 소득 70% 이하: 1인 기준 90%, 2인 기준 80%
    • 월평균 소득 50% 이하: 1인 기준 70%, 2인 기준 60%

    월평균 소득이 이해하기 어려우실 수 있는데요. 아래의'소득기준'을 확인하시면 가족인원수에 따른 구체적인 월평균 소득액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순위 대상자
    국가유공자, 보훈대상자, 5.18 민주유공자, 특수임무유공자, 참전유공자 본인과 유족들은 알뜰 실버타운 입주 선정에 2순위 혜택을 받는다. 단, 월평균 소득이 70%를 넘어선 안된다.

    2.3 소득기준

    2024년 월평균 소득 70%, 50%는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수는 세대구성원 전체를 뜻하고, 월평균 소득은 세전금액이 기준이 됩니다.

    가구원수 월평균 소득 70% 월평균 소득 50%
    1인가구 3,018,496원 2,347,719원
    2인가구 4,004,301원 3,003,226원
    3인가구 4,702,739원 3,359,099원
    4인가구 5,335,439원 3,811,028원
    5인가구 5,628,344원 4,020,246원
    6인가구 6,091,147원 4,350,820원
    7인가구 6,553,950원 4,681,393원
    • 근로자 월평균 소득 조회: 국민건강보험 접속> 보험료 조회/신청> 직장보험료 조회> 평균보수월액(월평균 소득)
    • 사업자 월평균 소득 조회: 홈택스 접속> My 홈택스> 연말정산/지급명세서> 지급명세서 등 제출내역> 지급명세서 보기

    사업자의 경우, 지급명세서에 표시된 연소득을 12개월로 나누어주셔야 월평균 소득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이 기준액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2.4 자산보유 기준

    소득 기준을 충족한다면, 이제는 자산보유 기준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1순위인 생계급여수급자와 의료급여수급자는 자산보유 기준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즉, 2~3순위에 해당하는 분들은 아래의 자산보유 기준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분류 설명 금액
    총자산 세대구성원 전체의 총자산 2억 5,500만 원
    자동차 세대구성원 전체의 개별 자동차가액 3,683만 원
    • 총자산: 세대구성원 전원이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자동차, 금융자산, 일반자산을 모두 합한 금액
    • 개별 자동차가액: 세대구성원 전원이 개인별로 보유하고 있는 자동차의 현재가치
    • 자동차가액 조회: 보험개발원 접속> 차량기준가액 검색

    참고로 세대구성원 모두의 자동차는 총자산에 포함되고, 개별 자동차가액도 별도로 평가됩니다. 생계·의료수급자는 신분 증빙자료(수급자 증명서)를 제출하면 소득 및 자산 검증절차가 생략됩니다.

    2.5 요약

    순위 월평균 소득 재산보유 기준
    1. 생계·의료수급자 생략
    2. 국가유공자 70% 이하 - 총자산 2억 5,500만 원 이하
    - 자동차가액 3,683만 원 이하
    3. 일반입주자 50% 이하

    요약하자면, 만 65세 이상 노인이라면 누구나 알뜰 실버타운에 입주할 수 있습니다. 단, 월평균 소득과 재산보유 기준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도심형 실버타운 입주비용 알아보기

    3. 신청방법

    알뜰 실버타운은 한국토지주택공사와 LH청약 등의 홈페이지에서 입주자 모집공고를 확인 후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 즉, 알뜰 실버타운별로 신청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제출서류를 준비해서, 사업주체가 지정한 장소에 방문 신청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모집공고를 찾을 때는 알뜰 실버타운이 아닌, 정식 명칭인 '주거복지동주택', '고령자복지주택'으로 확인하셔야 합니다.

    2024년 5월 28일 현재 모집 중인 "군산오룡 고령자복지주택"을 예시로 신청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온라인 신청: LH 청약 플러스 접속> 인터넷청약> 청약신청
    • 방문 신청: 제출서류 지참 후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오룡로 27, 대한노인회 군산시지회 2층 방문

    온라인 신청의 경우, 모집공고문에 명시된 주소지에 제출서류를 등기우편으로 제출해야 합니다. 또한 온라인 신청이 항상 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공고문을 확인해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제출서류

    제출서류 설명
    1. 영구임대주택 공급신청서 관할 사무소에 비치
    2. 개인정보수집·이용 및 제3자 제공 동의서 세대구성원 전원
    3. 금융정보 등 제공 동의서
    4. 자산 보유 사실확인서 임대차계약서 사본, 분양계약서, 출자증서 등
    5. 예비입주자 중복선정 불가사항 확인서 임대주택 신청자 본인

    1~5번의 제출서류는 알뜰 실버타운 신청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공통서류입니다. 이외에도 추가서류가 몇 가지 있는데, 해당되는 경우에만 준비해 주시길 바랍니다.

    • 추가서류: 주민등록초본(주소 및 세대주 변동 시), 가족관계증명서(세대분리 및 이혼 시), 신청자격 증명서, 외국인등록증(외국인 배우자)
    • 신청자격 증명서: 수급자증명서, 차상위계층 확인서, 국가유공자 확인원, 장기요양인정서 등

    핵심 요약

    알뜰 실버타운은 한 달 비용 20만 원 이하의 저렴한 가격으로 실버타운과 유사한 편의시설과 복지서비스를 누릴 수 있습니다. 만 65세 이상이라면 누구든지 입주할 수 있지만, 소득 및 자산보유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입주자격을 충족하신 분들은 주거복지동주택, 고령자복지주택의 모집공고문을 확인해 자세한 신청방법과 제출서류를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공급주택이 적고,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당첨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해 주세요.

    kakaoTalk band facebook shareLink